국민들 ,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시 ‘ 일자리 등 경제효과 ’ 가장 기대
- ‘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’ 국민 3,945 명 대상 ‘ 세계박람회 유치 ’ 설문 ... 응원 메시지 등 댓글 줄이어 - 부산 유치 시 기대 효과 ... ① 일자리 등 경제효과 (48.7%) ② 국가 인지도 제고 (26.6%) ③ 지역경제 활성화 (19.5%) ④ 박람회 참여 경험 (5.2%) 順 - 부산 강점 ... ① 세계적 해양물류 중심지 (41.7%) ② 우수한 MICE· 관광 인프라 (41.6%) ③ K- 컬쳐를 보유한 문화도시 (16.7%) - 가상체험 , SNS 활용 등 참여형 홍보 제안 많아 월드컵 , 올림픽과 함께 세계 3 대 메가 이벤트로 불리는 등록박람회인 ‘2030 세계박람회 ’ 유치 경쟁이 열기를 더해가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은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시 ‘ 일자리 , 소비 , 관광 등 경제효과 ’ 를 가장 크게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. 대한상공회의소 ( 회장 최태원 ) 가 6 월 3 일부터 2 주간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(sotong. korcham.net) 을 통해 ‘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,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?’ 라는 주제로 실시한 조사에서 박람회 부산 유치 시 가장 기대되는 효과에 국민들은 ‘ 일자리 , 소비 , 관광 등 경제효과 ’(48.7%) 로 답했다 . 이어 ‘ 한류 확산 , 기술력 홍보 등 대한민국 인지도 제고 ’(26.6%), ‘ 인프라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 마련 ’(19.5%) , ‘ 엑스포 방문 등 참여 경험 ’(5.2%) 이 그 뒤를 이었다 .

세계 3 大 메가 이벤트 세계박람회 유치 ... 全 국민의 힘 모을 필요
우리나라는 1993 년 대전 , 2012 년 여수에서 중규모 전문 박람회인 ‘ 인정박람회 ’ 를 2 차례 개최한 적이 있지만 , 대규모 종합 박람회인 등록박람회를 유치한 적은 없다 . 2030 년 5 월부터 6 개월간 전 세계 200 여국에서 3,480 만명 ( 부산시 추계 ) 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박람회를 유치하기 위해 현재 부산은 리야드 ( 사우디 ), 로마 ( 이탈리아 ) 와 경쟁을 벌이고 있다 . 2023 년 11 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 (BIE) 총회에서 부산 유치에 성공하면 대한민국은 세계 3 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7 번째 국가가 된다 .
이번 조사에서 부산이 세계박람회 유치를 도전한 것에 대해 ‘ 잘 알고 있었다 ’(55.5%) 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하며 국민들의 높은 관심도를 보여주었다 . 다만 ,‘ 전혀 몰랐다 ’ 는 응답이 전국적으로 11.7% 로 조사됐으며 , 영남권 (6.3%) 에 비해 영남권 외 지역 (15.4%) 에서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나 전국 단위의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.

부산의 유치 경쟁력은 ‘ 세계적 해양물류 중심지 ’ 와 ‘ 우수한 MICE · 관광 인프라 ’ 경쟁국 대비 부산이 가진 강점을 묻는 질문에는 ‘ 세계적인 해양물류 중심지 ’(41.7%) 와 ‘ 우수한 MICE· 관광 인프라 ’(41.6%) 라고 답해 동북아 해상중심지이자 관광도시로서 발돋움한 부산의 위상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과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. 컬쳐를 보유한 문화도시 (16.7%)>

이번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조사에는 3 천 5 백 건에 가까운 응원 댓글과 함께 부산유치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견도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.
글로벌 전시역량과 풍부한 관광자원 , 항구도시 특유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까지 갖춘 부산이 세계박람회 최적지입니다 !(40 대 수도권 회사원 ) 부산의 이름을 드높이고 2030 부산박람회의 개최를 손꼽아 기다립니다 . 세계적인 해양물류의 도시 , 관광시설이 풍부한 바다의 도시 , 무역 ․ 수출입이 활발한 도시 부산 ! (40 대 영남권 자영업자 ) |
특히 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’ 는 의견이 40.7% 로 가장 많았으며 , SNS 활용 글로벌 챌린지 시도 , 메타버스 활용 가상박람회 체험 등 참여형 홍보에 대한 제안이 두드러졌다 . 아울러 전 국민의 응원과 관심 (19.9%), 부산의 경쟁력 부각 (16.3%), 인프라 확충 등 정부투자 확대 (11.2%) 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.
부산세계박람유치지원 민간위원회 박동민 사무국장은 “ 박람회 유치에 대한 국민적 지지와 열망이 내년 3 월 예정된 유치실사단의 중요한 체크포인트 ” 라며 “ 국가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2030 세계박람회를 부산에서 개최할 수 있도록 우리 국민들의 적극적인 응원과 동참을 당부 드린다 ” 고 말했다 .

- 자세한 내용 확인을 원하시면, 본문 상단의 원문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-
|